마루 바닥재로 활용되고 있는 자재의 종류는 다양하다.
원목마루, 합판마루등 마루 하나 시공하는데
참..종류도많고 특성도 다 달라서
바닥재 선택에 뭐를 선택하면 좋을지...
하지만 강마루와 강화마루가
전체 시공되는 마루 마감재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으니,
사실 강화마루, 강마루 두가지
장,단점만 알고 있어도
문제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다.
강마루 강화마루 재질차이
강화마루와 강마루는 겉에 씌우는
나무무늬 필름은 같지만
바닥재료에서만 차이가 있어서
사실 강마루와 강화마루가
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
육안으로만 비교한다면 쉽지 않다.
강화마루 : 톱밥을 압축한 판위에 필름 입힌것
강화마루는 원목과 껍질을 통째로 분쇄하여
화학용품을 첨가하여
고온,고압으로 압축한 HDF에 표면에
필름을 씌운 것
강마루 : 합판위에 필름을 입힌것
강마루는 목재를 얇게 잘라서
가로, 세로로 엇갈려 만든 합판에
원목무늬의 필름을 입혀놓은 것.
강마루 vs 강화마루 장단점
강마루 : 주거환경에 조금 더 적합.
[장점]
- 바닥면 본드 접착시공 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하고,
바닥에 본드를 두껍게 도포하여
접착을 하기 때문에
한번 보일러를 가동하면 오랫동안 식지 않는다.
- 바닥 접착시공으로
강화마루보다
보행감이 우수하고
상대적으로 층간소음이 적다.
[단점]
- 본드 접착방식 시공이므로
보수 및 철거하기가 어려우므로
이후에 철거비용이 강화마루보다
상대적으로 비싸다.
자재 단가또한 강화마루보다 비싸다.
강화마루 : 오래 거주하지 않을 주거공간이나 상업 공간에 추천
[장점]
- 브랜드나 시공 방식에 따라 상이 하지만
대부분 강마루 보다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.
(강마루 대비 평당 1~2만원 저렴)
-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하다.
- 낙서, 오염이 비교적 쉽게 지워지는 편.
- 다양한 색상, 무늬 질감 구현이 강마루보다 우수하다.
- 끼워 맞춤 시공이라서 시공&철거가 간편하다.
[단점]
- 바닥과 이격된 시공법으로 열전도율이 낮다
- 바닥과 이격 된 시공법으로
층간소음에 취약하며
보행감도 떨어진다.
(바닥 수평이 잘 맞지 않은 상황에서 시공시
삐걱삐걱 소리가 많이 날 수 있다.)
'인테리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좋은 강마루 고르기 (0) | 2020.04.11 |
---|---|
심심한 벽에 포인트2 _웨인스코팅 (0) | 2020.04.05 |
심심한 벽에 포인트 _템바보드 (0) | 2020.03.30 |
댓글